이승엽

이승엽

재직중

AI 요약

서강대학교 기계공학과 이승엽 교수는 진동 및 소음 제어, 생체 모방 로봇 및 액추에이터, 미세 유체 및 버블 기술, 그리고 환경 정화 기술을 아우르는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AI 기반 예측 모델 개발과 방사선 차폐 및 오염수 처리 기술은 산업 발전과 지속 가능한 환경 문제 해결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승엽 교수는 다양한 공학 분야의 융합 연구를 통해 미래 기술 발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승엽 썸네일

이승엽

교수

서강대학교
기계공학과
소속서강대학교
부서 학과기계공학과
직책교수
사무실 번호027058638
이메일sylee@sogang.ac.kr
연구자 홈페이지
연구실바이오모방 및 정밀기기 연구실
연구실 홈페이지

중요 키워드

NVH나노버블미세조류복합소재스마트센서자동차동역학초소형구동기미세버블방사능정화기계공학환경정화소음진동친환경기술액추에이터생체모방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분야] 핵심 분야: 첨단 기계 시스템 설계 및 제어, 환경 에너지 기술 세부 분야: 소음 및 진동 제어(NVH), 생체모방 로봇 및 초소형 구동기, 방사능 물질 제어 및 환경 정화, 스마트 센서 및 복합 소재 개발, 자동차 동역학 및 안전성. [대표 연구 내용] 1. 친환경 방사능 오염물 정화 기술 문제 정의: 원전 해체 및 산업 활동으로 발생하는 방사능 오염수 및 폐기물 처리의 높은 비용과 환경적 부담. 기존 기술의 효율성 및 안전성 한계. 기술 우위: 미세조류 및 제올라이트 복합체를 활용하여 방사성 세슘(Cs) 및 스트론튬(Sr)과 같은 방사성 핵종을 효과적으로 흡착하고 감용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특히, 미생물군집을 이용한 방사능 오염물 정화 방법은 제염 후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으며, 제올라이트 복합체는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입니다. 이는 대량의 방사능 오염수를 손쉽게 정화할 수 있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입니다. 사업 가치: 원전 해체, 방사성 폐기물 관리, 환경 복원 등 고부가가치 환경 산업 분야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며,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환경 솔루션 제공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합니다. 2. 생체모방 기반 초소형 구동기 및 미세 버블 기술 문제 정의: 바이오/의료 분야 및 정밀 산업에서 요구되는 초미세 스케일에서의 정밀하고 효율적인 구동 메커니즘 부재. 미세 유체 제어 및 기체 용해 기술의 한계. 기술 우위: 식물 포자 발사 메커니즘을 모방한 초미세 구동기와 초음파를 이용한 고농도 미세기포(나노버블) 생성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 기술은 다양한 크기와 농도의 버블을 빠르고 손쉽게 제조하고 제어할 수 있으며, 상변화 버블 복합체를 통해 반복적인 크기 변화가 가능합니다. 또한, 미세조류 배양 및 유용성분 추출 시스템에 적용하여 효율을 극대화했습니다. 사업 가치: 의료 진단 및 치료 기기, 마이크로 로봇, 바이오센서, 수처리 및 환경 정화, 식품 및 화장품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 창출에 기여하며, 정밀 제어 및 효율성 향상을 통한 기술 혁신을 선도합니다. 3. 지능형 NVH 및 자동차 동역학 시스템 예측/설계 문제 정의: 현대 자동차 및 기계 시스템의 소음, 진동, 충격(NVH) 문제는 성능, 내구성, 사용자 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개발 초기 단계에서의 정확한 NVH 예측 및 제어 기술의 필요성 증대. 기술 우위: AI 기법을 활용하여 현가시스템 및 eM 플랫폼 서스펜션 모듈의 NVH 성능을 예측하는 툴과 모델을 개발했습니다. 에어컨 실외기 압축기 Grommet의 저소음화, 차량 동역학을 고려한 전기자동차 배터리 성능 예측, 크래쉬 박스의 충돌 에너지 흡수량 최적화 모델링 등 다양한 기계 시스템의 진동 및 소음 문제를 해결하고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사업 가치: 자동차 및 기계 산업에서 제품 개발 기간 단축, 비용 절감, 제품 성능 및 안전성 향상에 기여합니다. 특히 전기자동차 및 자율주행 시대에 요구되는 정숙성 및 승차감 개선을 통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모빌리티 기술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학력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기계공학 박사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기계공학 석사 서울대학교 기계공학 학사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