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용

최용

재직중

AI 요약

서강대학교 전자공학전공 최용 교수는 혁신적인 의료 영상 기술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방사선 영상기기, 양전자 단층촬영(PET) 기술 개발에 집중하며, 인공지능(AI)을 융합하여 정밀하고 효율적인 의료 진단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기여합니다. 고성능 디텍터, 신호 처리 회로, AI 기반 영상 분석 시스템 등 첨단 기술을 통해 기존 진단의 한계를 넘어선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의 연구는 미래 헬스케어 분야의 발전을 가속화하고 환자 진료의 질을 향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용 썸네일

최용

교수

서강대학교
전자공학과
소속서강대학교
부서 학과전자공학과
직책교수
사무실 번호027058910
이메일ychoi@sogang.ac.kr
연구자 홈페이지
연구실ISPS Lab.
연구실 홈페이지

경력정보

-
-

Sogang University

서강대학교 BK21Plus | 2013.03 \~ 현재 | 디렉터 (Director) 서강대학교 전자공학과 | 2013 \~ 2015 | 학과장 (Chairman) 서강대학교 응용과학기술연구소 | 2012 \~ 2013 | 소장 (Director) 서강대학교 전자공학과 | 2010.03 \~ 현재 | 교수 (Professor)

-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핵의학과 | 2008 \~ 2010 | 교수 (Professor) 성균관대학교 핵의학과 | 2002 \~ 2008

중요 키워드

딥러닝영상진단인공지능핵의학산란보정의료영상시스템디텍터뇌영상시스템반도체의용전자공학방사선영상광자계수PET헬스케어신호처리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분야] 핵심 분야: 의용전자공학, 의료영상시스템 세부 분야: 방사선 영상기기, PET (양전자단층촬영기), 인공지능 기반 영상 처리 및 진단, 시스템반도체공학, 헬스케어 핵심기술 [대표 연구 내용] 문제 정의: 기존 의료 영상 진단 기술의 한계(예: 낮은 해상도, 방사선 산란, 이미지 노이즈)와 인공지능 활용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방사선 영상 기기의 성능 향상 및 인공지능을 통한 진단 정확도 개선의 중요성에 주목했습니다. 기술 우위: -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한 방사선 영상 산란 보정 방법 및 장치 개발을 통해 영상 품질을 혁신적으로 개선했습니다. - 클리핑 신호 및 멀티플렉싱 회로를 활용하여 방사선 영상 기기의 신호 처리 효율성을 극대화했습니다. - 헬멧형 뇌전용 양전자 단층촬영 장치와 같은 혁신적인 의료 기기 개발을 선도하여, 환자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 PET 및 MR 영상 간 상호 변환 모델 구축과 딥러닝 기반 고속 양전자단층촬영 영상 획득 기술을 통해 진단 시간을 단축하고 정확도를 향상시켰습니다. - 다층 평판형 섬광체를 이용한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장치 개발로 감마선 검출 광센서 개수를 줄이면서도 고품질 영상을 확보했습니다. 사업 가치: - 개발된 기술들은 의료 영상 진단 정확도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키고, 진단 시간을 단축하여 환자들에게 더 나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방사선 피폭량 감소 및 기기 소형화를 통해 환자 안전성과 의료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 차세대 의료 영상 기기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기술 상용화를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 뇌 질환 진단, 암 진단, 재난/응급 현장 헬스케어 등 다양한 의료 분야에 적용 가능하여 폭넓은 사업 확장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학력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Ph.D., Biomedical Physics Dissertation Title: Refined Approaches to Quantitatively Evaluate Biological Processes Usin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eptember 1987 - June 1992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