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태욱

강태욱

재직중

AI 요약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전공 강태욱 교수는 나노기술, 바이오센서, AI 융합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복잡한 질병의 조기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이라는 문제 해결을 위해, 강태욱 교수는 플라즈모닉 SERS 및 장기칩 기반 감염병 바이오마커 진단 플랫폼, 맞춤형 AI 오가노이드 스크리닝 플랫폼 등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금속 나노구조체 및 친환경 나노입자를 활용한 진단 칩과 센서 개발, 미생물 및 미토콘드리아 기능 강화 연구를 통해 의료, 환경, 바이오 산업 전반에 걸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연구 성과들은 바이오 진단 및 치료 기술의 발전을 촉진하고, 인류 건강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강태욱 썸네일

강태욱

교수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소속서강대학교
부서 학과화공생명공학과
직책교수
사무실 번호027058920
이메일twkang@sogang.ac.kr
연구자 홈페이지
연구실나노플라즈모닉스 연구실
연구실 홈페이지

경력정보

-
-

Sogang University

2019 – Present Director, Institute of Integrated Biotechnology 2017 – Present Professor,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중요 키워드

미생물검출바이오센서중금속제거바이오마커나노포토닉스미토콘드리아플라즈모닉스오가노이드진단플랫폼나노입자자가면역질환SERS마이크로플루이딕광학기술PCR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분야] 핵심 분야: 바이오 나노포토닉스 세부 분야: 바이오의학용 다기능성 단일 나노플라즈몬 입자 제조, 생체 내 분자 이미징을 위한 플라즈몬공명 에너지전이 탐침체 개발, 표면증대 라만(surface-enhanced Raman spectroscopy) 분석용 탐침체 개발 및 어레이화, 선택적 금속이온 검출을 위한 단일 나노플라즈몬 입자 제조 [대표 연구 내용] 주요 연구는 플라즈모닉 SERS 및 장기칩 기반 감염병 바이오마커 진단 플랫폼 개발, 맞춤형 AI 오가노이드 스크리닝 플랫폼 개발 등 생체 진단 및 분석 기술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금속 나노구조체를 활용한 진단 칩 및 센서 개발을 통해 미량 물질을 고감도로 검출하는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질병의 조기 진단 및 맞춤형 치료 분야에 혁신적인 사업 가치를 제공하며, 환경 모니터링, 신약 스크리닝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의 확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학력

2006 - 2008 Post-doctoral Fellow, Berkeley Sensor & Actuator Center,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US 2001 - 2006 Ph.D. in Chem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1994 - 2001 B.S in Chemic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