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관우
신관우
재직중협력 형태
예산 범위
AI 요약
신관우 교수는 서강대학교 화학전공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그는 바이오, 나노, 첨단소재 분야의 경계를 허무는 융합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공지능(AI) 기반 기술 매칭, 세포외기질, 미세유체, 3D 프린팅 등 다양한 혁신 기술 개발에 주력하며 학계와 산업계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신 교수의 연구는 생체 재료, 진단 기술, 신에너지 소재 등 폭넓은 분야에서 실제적인 문제 해결과 미래 기술 발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신관우
교수
소속 | 서강대학교 |
부서 학과 | 화학전공 |
직책 | 교수 |
사무실 번호 | 027058411 |
이메일 | kwshin@sogang.ac.kr |
연구자 홈페이지 | |
연구실 | Biological Interface Group |
연구실 홈페이지 |
경력정보
서강대학교
화학과 교수 재직, 3D 바이오 프린팅, 미세유체, 인공 세포/조직 공학, 기능성 신소재 개발 등 첨단 융합 연구 주도 및 인재 양성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재직, 고분자 및 생체재료, 계면화학 분야 연구 및 교육 담당
NIST
고분자 및 계면화학 분야 PostDoc 연구 수행
중요 키워드
대외활동
[수상 실적] 1. 2023, 2023 과학의날 과학기술 포장 “과학기술분야 공적원조” 기여 2. 2022 한국과학창의재단 선정 2022 우수과학도서 선정, 10대를 위한 적정기술 콘서트 (참여저자) 3. 2019,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상금 1천만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 2019, 2019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연구 100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5. 2019, 2019년 우수과학도서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적정기술의 이해” (대표저자) 6. 2018, 연구자가 선정한 Top5 뉴스 (바이오융합분야), 생물학연구정보센터 7. 2018, 올해의 30대 과학기술 뉴스, 한국과학기술총연합회 8. 2014, 금상 (산업통상부장관상), 2014 대한민국 발명특허 전시회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분야] 고분자 과학, 생체 재료, 계면 화학, 나노 기술, 3D 바이오 프린팅, 미세유체 시스템, 인공 세포/조직 공학, 진단 키트 개발, 방사선/중성자 산란 분석 [대표 연구 내용] 신관우 교수는 생체 모사 기술을 활용한 3D 바이오 프린팅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 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특히 'OPR (On-Printing Refueling)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은 기존 3D 프린팅이 재현하기 어려웠던 실제 인체 조직과 유사한 단계적 기울기 및 급격한 변화를 정밀하게 구현 가능하며, 이는 연골 모사체, 인공 혈관, 장기 맞춤형 세포외기질 등 다양한 재생용 생체 조직 개발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난치병 치료를 위한 인공 장기 개발 및 맞춤형 의료 시장에서 높은 사업적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미세유체 및 첨단 진단 시스템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경사면 미세유체 방울 기반 회전식 PCR 장치' 및 '무 펌프 기반 PCR 장치' 개발을 통해 기존 PCR의 복잡성과 장비 제약을 해결하여 간편하고 효율적인 진단 시스템 구축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더불어 '하이드로겔 코팅 구간을 활용한 검출 감도가 향상된 진단키트'는 낮은 농도의 검체로도 표적 물질 검출이 가능하게 하여 질병의 조기 진단 및 현장 진단(POCT) 시장에서 활용 잠재력이 매우 큽니다. 계면 화학을 기반으로 한 기능성 신소재 개발 역시 핵심 역량입니다. '전기장을 이용한 세포외막단백질 원섬유 제조 방법'은 기존 방식과 달리 조작이 용이한 전기장 제어를 통해 수 나노미터 두께의 균일한 콜라겐 원섬유를 제조할 수 있어 생체 내 메커니즘 모사 및 신규 의료 소재 개발에 기여합니다. 이는 생체 적합성을 극대화한 다양한 의료용 봉합사, 지혈패드, 피부 노화 방지용 소재 등의 개발로 이어져 고부가가치 의료용 소재 시장을 선도할 것입니다.
학력
SUNY Stony Brook 박사 (2000) KAIST 석사 (1997) 서강대학교 학사 (1995)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