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용순

최용순

재직중

AI 요약

최용순 교수는 서강대학교 영상전공의 교수로, 인공지능(AI), 가상/증강현실(VR/AR), 웨어러블 기술 등 첨단 융합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VR Pen을 활용한 브레인스토밍 앱, 시각장애인 AR 보행 디바이스, AI 기반 반려동물 행동 분석 시스템, 다중 배열 압력 센서 웨어러블 기기 등 혁신적인 과제와 특허를 통해 실질적인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며 학계와 산업계 발전에 기여하고 있으며, 미래 기술을 선도하는 그의 연구는 사용자 경험 개선과 삶의 질 향상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최용순 썸네일

최용순

교수

서강대학교
기타
소속서강대학교
부서 학과기타
직책교수
사무실 번호0232744893
이메일goodsoon96@gmail.com
연구자 홈페이지
연구실LIFESTYLE MEDIA
연구실 홈페이지

중요 키워드

반려동물행동분석딥러닝골전도인공지능압력센서산학협력시각-청각 변환AR혼합현실스마트UXVR웨어러블증강현실헬스케어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분야] 혼합 현실 및 감각 증강 기술 - 최용순 교수는 혼합 현실(MR), 가상 현실(VR), 증강 현실(AR) 기술 개발 및 이의 응용 분야를 연구합니다. 특히 VR Pen을 활용한 혼합 환경 브레인스토밍 어플리케이션과 시각장애인 안내견을 모티프로 한 촉각, 청각 증강형 AR 보행 디바이스 개발에 참여하며 실감형 기술의 사용자 경험 확장에 집중합니다. 또한, 시각-청각 변환 기술 및 다중 감각 활용 미디어 연구를 통해 감각의 한계를 넘어선 새로운 상호작용 방식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 헬스케어 -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 개발 또한 주요 연구 분야입니다. 피트니스용 웨어러블 이어폰, 혈점 자극이 가능한 골전도 이어셋, 다중배열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혈압 측정 장치 및 공기 진동 전달형 다중 배열 압력 센서 등 다양한 웨어러블 기술을 개발하여 일상생활 속 건강 관리 및 신체 기능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인바디 솔루션 및 가정용 체성분분석기 관련 연구도 수행합니다. 인공지능 기반 상호작용 시스템 -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상호작용 시스템 개발에도 역량을 발휘합니다. 특히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반려동물의 카밍 시그널(Calming signals)을 이해하고 행동을 분석하여 반려견과의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주력합니다. 이는 반려동물 양육 트렌드에 발맞춰 보호자와 반려동물 간의 유대감을 증진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목표를 둡니다. 더불어 고객 사용씬 기반의 오븐 Smart UX 컨셉 발굴 및 감성 의자로봇 연구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혁신하는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내용] 최용순 교수는 혼합 현실, 웨어러블 헬스케어, 인공지능 기반 상호작용 시스템 분야에서 실용적이고 혁신적인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인공지능을 결합한 연구는 미래 사회의 건강 관리 및 소통 방식에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기대됩니다. 웨어러블 헬스케어 솔루션 개발 - 문제 정의: 현대인의 건강 관리는 시공간 제약이 많아 꾸준한 모니터링이 어렵습니다. 기존의 헬스케어 기기들은 사용이 불편하거나 비용이 높아 접근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습니다. 기술 우위: 최용순 교수는 혈점 자극이 가능한 골전도 이어셋과 다중 배열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혈압 측정 장치를 개발하여, 비침습적이고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건강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합니다. 이는 기존 기기들의 단점을 보완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한 기술입니다. 사업 가치: 개발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솔루션은 만성 질환 관리, 예방 의학, 개인 맞춤형 건강 서비스 시장에서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가집니다. 사용자 접근성을 높여 대중화가 용이하며, B2C 시장뿐만 아니라 기업의 직원 건강 관리 프로그램에도 적용 가능하여 폭넓은 사업 기회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 기반 반려동물 상호작용 시스템 - 문제 정의: 반려동물 양육 인구가 급증하면서 반려동물과의 효과적인 소통과 행동 이해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비전문가들은 반려동물의 신호를 정확히 해석하기 어렵습니다. 기술 우위: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반려동물의 '카밍 시그널' 및 행동을 분석하고, 이를 보호자가 이해하기 쉬운 정보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모니터링을 넘어선 상호작용 증진에 초점을 맞추며, 차별화된 인공지능 기반의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사업 가치: 이 시스템은 반려동물 관련 산업(사료, 용품, 훈련 서비스, 보험 등) 전반에 걸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반려동물 문제 행동 교정 및 보호자와의 유대감 강화에 기여하여, 관련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학력

Ph.D. in Media Design, Keio University (2013) 국민대학교 디자인학석사 (2007)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미술학사 (2004)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