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봉진

문봉진

재직중

AI 요약

서강대학교 화학전공 문봉진 교수님은 전고체전지, 연속혈당 측정기용 바이오센서, 기능성 고분자 개발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계십니다. 혁신적인 소재 합성 및 분석 기술을 통해 차세대 에너지 및 헬스케어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신 특허 성과들을 통해 그 전문성을 입증하고 있으며, 미래 화학 산업을 이끌어갈 연구 인력 양성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문봉진 썸네일

문봉진

교수

서강대학교
화학전공
소속서강대학교
부서 학과화학전공
직책교수
사무실 번호027058447
이메일bjmoon@sogang.ac.kr
연구자 홈페이지
연구실기능성유기분자합성연구실
연구실 홈페이지

경력정보

-
-

서강대학교

2002.3 - 2006.2 ㅣ 서강대학교 화학과, 조교수 2006.3 - 2011.2 ㅣ 서강대학교 화학과, 부교수 2011.3 - 현재 ㅣ 서강대학교 화학과, 교수

-
-

University of California at Irvine,

2001.4. - 2002.2. ㅣ Department of Chemistry Post-doctoral Research Fellow (Overman Group)

중요 키워드

바이오센서블록공중합체광학이방체유기발광소자재료공학전고체전지전자전달체기능성첨가제센서코팅고분자합성질량분석유기소재리튬이차전지연속혈당측정액정물질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분야] 핵심 분야: 유기합성화학, 기능성 고분자, 유기광전자소재 세부 분야: 천연물 전합성 및 거대고리 천연물 합성 전이금속 촉매 기반의 새로운 유기합성 방법론 개발 음이온 및 리빙 라디칼 중합을 통한 기능성 고분자 합성 전기변색 소재, OLED 소재, 전도성 고분자 등 유기 광전자 재료 개발 [대표 연구 내용] 1. 천연물 전합성 및 거대고리 천연물 합성 복잡한 구조를 가진 천연물의 전합성을 통해 새로운 합성 전략과 반응 메커니즘을 탐구합니다. 특히, 거대고리 천연물의 합성에서는 고리 형성 반응의 입체선택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2. 새로운 유기합성 방법론 개발 전이금속 촉매를 활용한 새로운 구조 재배열 반응과 탄소-탄소 결합 형성 반응을 개발하여, 기존에 합성이 어려웠던 복잡한 유기분자의 효율적인 합성 경로를 제시합니다. 3. 기능성 고분자 합성 음이온 중합 및 리빙 라디칼 중합 기술을 활용하여 분자량과 분자구조가 정밀하게 제어된 기능성 고분자를 합성합니다. 이를 통해 블록 공중합체, 스타형 고분자 등 다양한 구조의 고분자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4. 유기 광전자 소재 개발 전기변색 소재,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소재, 전도성 고분자 등 차세대 광전자 소자에 활용 가능한 유기 소재를 개발합니다. 특히, 전도성 고분자의 전기적 특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학력

서울대학교(BS 1990, MS 1992) Univ. Minnesota (Ph.D. 2001) UC Irvine (PostDoc 2001-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