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한빈
오한빈
재직중AI 요약
서강대학교 화학전공 오한빈 교수는 질량분석학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자입니다. AI 및 기계 학습 기술을 융합하여 마약류, 식품, 생활화학제품 등 다양한 분야의 첨단 분석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신 질량분석 기법을 활용한 마약류 화학정보학적 분석과 시료 전처리 자동화 시스템 개발에 주력하며, 환경 유해물질 및 생체 분자 분석에서도 독보적인 전문성을 보입니다. 오한빈 교수의 연구는 과학 수사, 환경 보건, 식품 안전 등 사회 여러 분야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오한빈
교수
소속 | 서강대학교 |
부서 학과 | 화학전공 |
직책 | 교수 |
사무실 번호 | 027058444 |
이메일 | hanbinoh@sogang.ac.kr |
연구자 홈페이지 | |
연구실 | 질량분석연구실 |
연구실 홈페이지 |
경력정보
서강대학교
화학과 교수 재직 중
Cornell University
포닥 연구 수행 (지도교수: Prof. Fred W. McLafferty)
중요 키워드
대외활동
[대외 활동] - 미국 조지아 대학교 화학과 방문 교수 (2009년 - 2010년) - Asia-Oceanic Mass Spectrometry Conference 2023 조직위원회 공동위원장 (2020년 - 2023년) [학회 활동] - 대한화학회 화학세계 전문위원 (2003년 - 2004년, 2008년) - 한국질량분석학회 이사 (2004년 - 2005년, 2010년 - 2015년) - 생물물리학회 학술간사 (2004년 - 2005년) - 대한화학회 화학교육 편집위원 (2004년 - 2005년) - 한국 단백질-펩타이드학회 학술간사 (화학) (2006년 - 2009년) - 한국화학올림피아드 출제위원 (2008년 - 2009년, 2011년 - 2012년) - 대한화학회 물리화학분과 간사 (2008년, 2011년) - Asian Peptide Society Symposium Organizing Committee Member (2008년 - 2009년) - 대한화학회 분석화학분과 간사 (2009년, 2013년 - 2015년, 2018년) - 한국포렌식학회 이화학분과 이사 (2011년) - 분석과학회 학술이사 (2011년) - 올림피아드 여름학교 교장 (2011년 - 2012년) - 한국단백질학회 재무간사 (2011년 - 2012년) - 한국단백질학회 총무간사 (2016년 - 2017년) - Mass Spectrometry Letters, Associate editor (2010년 - 2017년) - Mass Spectrometry Letters 편집위원장 (2018년 - 2019년) - 대한화학회 학술위원회 위원 (2017년 - 2020년)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편집위원장 (2022년 - 2023년) - 한국질량분석학회 학술위원장 (2024년 - 2025년) - 대한화학회 총무부회장 (2024년 - 2025년) [수상 내역] - 한국질량분석학회 학술상 (2015년) - 대한화학회 물리화학분과 김명수 학술상 (2017년) - 대한화학회 분석화학분과 학술상 (2019년) - 제35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2025년)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분야] 핵심 분야: 질량분석학 기반의 첨단 화학 분석 기술 및 응용 세부 분야: AI/화학정보학 기반 분석, 환경 및 식품 유해물질 분석, 생체분자 및 단백질 분석, 자동화 분석 시스템 개발, 신규 분석법 및 기술 개발 [대표 연구 내용] 공중 보건 및 환경 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다양한 매질(식품, 환경 시료, 생체 시료) 내 복합적인 성분 또는 미량 유해 물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 주요 과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기존 분석법은 복잡한 전처리 과정과 긴 분석 시간, 그리고 민감도 및 특이성의 한계로 인해 효율적인 대응이 어려운 경우가 많았습니다. 오한빈 교수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최첨단 질량분석 기술과 인공지능(AI), 화학정보학을 융합한 혁신적인 분석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FRIPS 질량분석법을 활용한 단백질/펩타이드 시퀀싱, AI 기반의 규제 물질 및 미지 마약류 분석, 그리고 자동화된 시료 전처리 시스템 개발에 독보적인 기술 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기존 분석 대비 월등히 향상된 민감도와 특이성을 제공하며, 분석 시간 단축 및 고처리량 분석을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공기 중 유해물질 모니터링을 위한 휴대용 GC/MS 개발 등 실용적인 현장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제약 산업에서의 불순물 분석 및 신약 개발, 식품 안전 분야의 위변조 및 유해물질 검출, 환경 모니터링 및 공중 보건 분야의 살생물제 및 미세플라스틱 분석 등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신규 유해물질에 대한 빠르고 정확한 대응을 통해 기업의 규제 준수 및 제품 안전성 확보에 기여하며, 기술이전을 통한 분석 장비 및 소프트웨어 시장의 혁신을 이끌어낼 잠재적 사업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학력
University of Toronto, Canada 박사 (2000) 서울대학교 화학과 이학사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