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서강대학교 화학과 서원석 교수는 나노소재 및 하이브리드 나노소재 분야의 권위자입니다. 금속-탄소, 금속-탄소-실리카 기반 나노소재 개발과 이를 활용한 촉매 및 신재생에너지 분야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산화탄소 전환 기술과 철-백금 나노입자 촉매, 자성 무기 복합체 나노입자 관련 특허를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본 프로필은 서원석 교수의 주요 연구 과제와 특허 정보를 상세히 제공하여, 그의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한눈에 파악하실 수 있도록 돕습니다.

교수
| 소속 | 서강대학교 |
| 부서 학과 | 화학전공 |
| 직책 | 교수 |
| 사무실 번호 | 027058448 |
| 이메일 | wsseo@sogang.ac.kr |
| 연구자 홈페이지 |
나노소재 합성 및 하이브리드 나노구조체 연구
본 연구실은 차세대 산업에 필수적인 기능성 나노소재 및 하이브리드 나노구조체의 합성과 응용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금속-탄소, 금속-탄소-실리카 기반의 복합 나노소재를 독창적인 방법으로 개발하여, 재료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금속 및 산화물 나노입자를 메조세공 실리카 담지체에 안정적으로 도입하거나, 그래핀 쉘로 코팅하는 등 나노구조체 설계의 독자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 소재의 한계를 뛰어넘어 새로운 기능성을 부여하며,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발현하는 데 기여합니다. 합성된 나노소재는 촉매, 에너지 저장 및 전환, 환경 정화 등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며, 특히 나노 스케일에서의 정밀한 제어를 통해 성능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신소재 개발을 통해 미래 산업의 핵심 동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촉매 및 에너지 전환 시스템 개발
본 연구실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친환경 촉매 기술과 효율적인 에너지 전환 시스템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산화탄소 전환 기술, 연료 전지, 수소 발생 반응 촉매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핵심 기술을 나노소재 기반으로 연구합니다. 백금 쉘의 두께가 조절된 철-백금 나노입자 촉매 및 다양한 전이금속 나노촉매 합성을 통해 높은 효율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메조세공 실리카 담지체를 활용하여 촉매 활성점의 분산도를 높이고 재활용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촉매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강점을 보입니다. 이러한 촉매 시스템은 이산화탄소 저감 및 유용 물질 전환 효율을 증대시키고, 수소 생산의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궁극적으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환경 부담을 줄이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여, 탄소 중립 사회 구현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기능성 자성 나노 복합체 및 바이오/반도체 응용
본 연구실은 기능성을 극대화한 자성 나노 복합체 개발을 통해 바이오메디컬 및 첨단 반도체 분야로의 응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습니다. 특히, 철-코발트(FeCo) 나노입자를 기반으로 한 자성 무기 복합체 나노입자 및 그래파이틱 쉘로 코팅된 FeCo 나노결정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성 나노 복합체는 뛰어난 자기적 특성과 생체 적합성을 바탕으로 자기공명영상(MRI) 조영제, 약물 전달 시스템, 세포 분리 등 바이오 분야에서 혁신적인 진단 및 치료 도구로 활용될 잠재력을 가집니다. 더 나아가 ALD SiO2 공정용 Si precursor 합성 연구와 반도체 단결정 나노물질의 합성 및 소자 응용 연구를 통해 차세대 반도체 공정 및 소자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나노소재의 다기능성을 활용하여 의료 기술의 발전과 고성능 전자 소자의 구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입니다.
[학회/위원회 활동] - 대한화학회 무기화학 분과회 학술간사, 심포지엄 II (하이브리드 나노구조체) 조직책임자 - 2023년 동계 심포지엄 조직위원
KAIST (BS 1997, MS 1999) KAIST (Ph.D. 2003) KAIST (PostDoc 2003.9 - 2005.6) Stanford Univ. (PostDoc 2005.7 - 2007.7)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