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원

이진원

재직중

협력 형태

공동연구
계약연구
장비시험·분석
자문·컨설팅
학생참여
기타

예산 범위

1천만 원 이하

AI 요약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전공 이진원 교수님은 C1 가스 바이오리파이너리 및 대사공학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자입니다. 교수님은 메탄, 일산화탄소 등 C1 가스와 바이오매스를 활용하여 개미산, 엑토인, 2,3-부탄다이올, 지방산 등 고부가가치 화학물질을 생산하는 친환경 생물공정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계십니다. 유전자 조작 및 발효 최적화를 통해 미생물의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고, 탄소중립 사회 실현에 기여하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진원 교수님의 연구는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바이오화학 산업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이진원 썸네일

이진원

교수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소속서강대학교
부서 학과화공생명공학과
직책교수
사무실 번호027058919
이메일jinwonlee@sogang.ac.kr
연구자 홈페이지
연구실생물화학공학 연구실
연구실 홈페이지

경력정보

-
-

한국화학공학회

수석부회장 ( 2023 )

-
-

C1 가스 리파이너리 사업단

단장 ( 2015 ~ 현재 )

-
-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 2005 ~ 현재 )

-
-

광운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 ( 1994 ~ 2005 )

-
-

Univerisity of Virginia

연구원 (1993 ~ 1994 )

중요 키워드

바이오 리파이너리대사 공학이산화탄소 활용C1 가스 전환지방산 생산친환경 화학BTX 생산플라즈마 공정지속가능 생산2,3-부탄다이올에너지 효율생물 촉매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분야] 핵심 분야: C1 가스 전환 및 바이오 리파이너리 세부 분야: 대사공학 기반 화학물질 생산, 바이오에너지 생산, 촉매 및 분리 공정 개발, 환경 생물공학 [대표 연구 내용] 환경 문제와 에너지 위기 해결을 목표로, 이진원 교수 연구팀은 저부가가치 C1 가스(메탄,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와 바이오매스를 활용하여 고부가가치 화학물질 및 바이오 연료를 생산하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 문제 정의 :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와 화석연료 고갈은 인류가 직면한 중대한 과제입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기존 산업 공정에서 발생하는 C1 가스를 재활용하고 지속 가능한 바이오매스를 활용하여 친환경적으로 자원화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 기술 우위 : 이진원 교수 연구팀은 고성능 미생물 균주(예: 메틸영양세균, Klebsiella, Corynebacterium) 개발을 위한 대사공학 및 유전자 조작 기술에 탁월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개미산, 우라실, 2,3-부탄다이올, 지방산 등 다양한 고부가가치 물질의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플라즈마 반응기 및 제올라이트 촉매를 활용한 C1 가스의 직접 전환 및 분리 기술 개발을 통해 공정의 경제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우위는 기존의 고비용, 고에너지 화학 공정을 대체하고, 친환경적인 바이오 공정으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합니다. - 사업 가치 : 연구팀의 기술은 온실가스 감축 및 탄소 중립 달성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며, 화학 산업의 패러다임을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전환할 잠재력을 가집니다. 바이오 연료, 바이오 플라스틱, 정밀 화학 제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국내외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특히, 폐기물 자원화 및 에너지 효율 증대를 통한 비용 절감 효과는 기업의 수익성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학력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Carnegie Mellon University (1993, Ph.D.)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9, M.S.)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7, B.S.)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