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철
김현철
재직중AI 요약
김현철 교수는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전공 교수로서, 질병 치료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혁신적인 약물전달시스템 개발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나노의약품을 활용하여 암, 안질환 등 다양한 난치성 질환의 표적 치료를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최신 mRNA 백신 및 유전자 치료제 전달 기술 연구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물질 탐색 및 정밀 진단용 조영제 개발에도 기여하며, 의료기술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김현철 교수의 연구 성과는 미래 의약품 개발의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김현철
교수
소속 | 서강대학교 |
부서 학과 | 화공생명공학과 |
직책 | 교수 |
사무실 번호 | 027058922 |
이메일 | hyuncheol@sogang.ac.kr |
연구자 홈페이지 | |
연구실 | 기능성 나노의약 연구실 |
연구실 홈페이지 |
경력정보
듀크의과대학
2007-2008 ㅣ 연구조교수
미국립보건원
2004-2007 ㅣ 박사 후 연구원
중요 키워드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분야] 핵심 분야: 약물 전달 시스템, 나노의약품, 유전자 치료, 진단 기술 세부 분야: mRNA 백신 전달체 개발, siRNA 유전자 치료제, 나노 지질 드릴, 하이드로젤, 알부민 나노입자, 마이크로버블, 안내 이식형 약물 전달 임플란트, 광음향 및 초음파 조영제 개발, 세포 내 섭취 효율 향상 기술, 생체 내 약물 전달 속도 정량화 기술 [대표 연구 내용] 효과적인 약물 전달은 현대 의학에서 질병 치료의 성공률을 높이는 핵심 요소입니다. 기존 약물 전달 방식은 특정 표적에 대한 효율성과 약효 지속성 면에서 한계가 있었습니다. 특히, 특정 장기(예: 눈, 간)나 세포 내에 약물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입니다. 김현철 교수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최첨단 나노바이오 기술 기반의 약물 전달 시스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팀은 비강내 전달 LNP-MEL 입자, mRNA/siRNA 백신 및 유전자 치료제 전달 시스템, 막교란 및 장력 유도 나노 지질 드릴, 다양한 질병 치료용 나노입자 복합체(알부민 나노입자, 하이드로젤, 지질 표면 개질 나노입자) 등을 개발하여 약물의 생체 내 안정성, 표적 지향성 및 세포/조직 투과 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합니다. 특히, 망막 질병 치료를 위한 효과 지속성 siRNA 기반 나노메디슨, 아노이키스 내성 암세포 화학요법을 위한 나노입자, 그리고 항암 치료 및 유전자 치료를 동시에 수행하는 간동맥 화학색전술용 조성물 개발은 특정 질병에 대한 치료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줍니다. 또한, 초음파 조영제와 광음향 조영제를 활용한 진단 및 치료 복합체 개발은 진단 정확도를 높이고 맞춤형 치료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표적 장기나 세포에 약물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전달하여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함으로써, 난치병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줄 것입니다. 특히, 비침습적 전달 경로(비강내, 호흡기)를 활용한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은 환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임상 적용 가능성을 확대합니다. 이러한 혁신적인 약물 전달 및 진단 기술은 제약 산업, 바이오산업, 의료기기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막대한 사업적 가치를 가집니다.
학력
2002 - 2004 Ph.D. in Chemical Engineering, University of Maryland - College Park 1999 - 2001 M.S. in Chemical Engineering, University of Maryland - College Park 1992 - 1998 B.S. in Chemical Engineering, Sogang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