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경수

하경수

재직중

AI 요약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전공 하경수 교수는 촉매 및 플라즈마 기술을 활용하여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폐플라스틱의 효율적인 업사이클링과 저온 플라즈마 전환법 개발을 통해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메탄 및 COx 등 C1 화학종의 고농도화 및 직접 전환 기술을 연구하여 온실가스 저감 및 고부가가치 화학제품 생산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촉매 기반 피셔-트롭쉬 합성 및 유전체 장벽 방전(DBD) 플라즈마 반응기 개발은 에너지 전환 및 탄소 자원화 분야의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하경수 교수는 다수의 정부 연구 과제, 국내외 논문 발표, 특허 등록을 통해 그의 탁월한 연구 역량을 증명하고 있으며, 미래 화학 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하경수 썸네일

하경수

교수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소속서강대학교
부서 학과화공생명공학과
직책교수
사무실 번호0232744892
이메일philoseus@sogang.ac.kr
연구자 홈페이지
연구실지속가능 탄소중립 연구실
연구실 홈페이지

경력정보

-
-

Sogang University

Mar. 2018 ~ Present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Mar. 2014 ~ Feb.2018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
-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Mar. 2009 ~ Feb. 2014 Principal Researcher

-
-

LG Chem Research Park

Sep. 2001 ~ Mar. 2009 Senior Researcher and Team Leader

중요 키워드

그린 화학환경 공정탄화수소 합성수소 생산피셔-트롭시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온실가스 전환촉매 기술저온 플라즈마제올라이트C1 화학메탄 전환에너지 효율메조다공성 소재유기산 생산

대외활동

[수상 경력] 1. 2012년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마이크로 반응 시스템을 활용한 합성석유 제조기술의 개발",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최문기, 2013년 8월 28일. 2. 한국화학연구원 표창장, "우수직원상", 한국화학연구원 원장, 2013년 9월 2일. 3. 한국화학연구원 GREEN STAR 상, 한국화학연구원 원장, 2014년 2월 (Global Top Group Member), 2012년 2월 24일 (Global Top Gro진입 후보). 4. LG그룹 연구개발상 본상/ 신기술 부분, "아크릴산 제조 신공정", LG그룹, 2006년 3월 23일. 5. NET 인증마크 획득, "다단제열 열교환형 반응기와 물/초산 동시 분리 기술을 적용한 아크릴산 제조 공정기술", 과학기술부, 2006년 7월 5일.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분야] 핵심 분야: 고효율 이종 촉매(Heterogeneous Catalysts), 지속가능 화학 공정, 미세 반응기(Microreactor) 설계 세부 분야: Ordered Mesoporous Catalyst 설계 및 합성 (Sol-gel, Nano-casting, 나노소재 기반) 탄소중립 기반 C1 화학: 메탄, 합성가스(Syngas) 기반 연료 및 화학물질 전환 생물질(Biomass) 및 폐자원 활용을 통한 친환경 촉매 반응 마이크로 반응기 기반의 컴팩트 화학공정 설계 반응속도론(Reaction Kinetics) 기반의 통합 공정 개발 [대표 연구 내용] 하경수 교수는 친환경적이며 고효율적인 이종 촉매 시스템과 컴팩트 화학공정의 개발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미세구조화된 촉매 및 반응기 설계를 통해 차세대 화학산업 기술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Ordered Mesoporous Catalyst의 구조적 정렬성과 표면 특성을 활용해, 합성가스(Syngas)로부터 알코올, 탄화수소 및 화학 중간체를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C1 화학 기반 연료 전환 공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폐 플라스틱(PMMA)로부터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를 저온 플라즈마 및 제올라이트를 활용해 회수하는 공정을 개발하여 폐자원 활용 및 자원 순환 기술의 고도화를 추구하고 있습니다【2024, CEJ】. Ru 나노입자를 메조기공 내 직접 캡슐화하거나, Ordered Mesoporous Carbon Reactor를 이용한 Fischer–Tropsch 합성을 통해 고선택성 및 고활성 반응 시스템을 구현하였습니다【2013~2015, Chem. Commun., J. Mater. Chem. A】.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 플라즈마 반응기와의 융합을 통해, 메탄의 비산화적 커플링(NOCM), 에탄 크래킹 기반 에틸렌-수소 동시 생산, 및 탄소중립 에틸렌 공정 전략 등 전기화학 기반 촉매 반응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2019~2024, CEJ, EnConMan】.

학력

서울대학교 공학사 (1995) 서울대학교 공학박사 (2001)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