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현식
정현식
재직중AI 요약
서강대학교 물리학과 정현식 교수는 2차원 물질, 양자물리 현상 및 나노 박막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자입니다. 차세대 전자소자 및 광학 소자 개발에 필수적인 이황화 몰리브덴, 이황화 텅스텐, 금속 칼코게나이드 등 다양한 2차원 물질의 특성 분석과 응용 기술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초미세 분광학 기술을 활용한 물질의 물성 측정 및 유연 기판 상 박막 전사 기술, 그리고 혁신적인 수소 센서 개발에 기여해 왔습니다. 다수의 국책 연구 과제와 핵심 특허를 통해 그의 연구는 학계뿐만 아니라 산업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정현식 교수의 심층적인 연구 활동과 기술 개발 성과를 본 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정현식
교수
소속 | 서강대학교 |
부서 학과 | 물리학과 |
직책 | 교수 |
사무실 번호 | 7058434 |
이메일 | hcheong@sogang.ac.kr |
연구자 홈페이지 | |
연구실 | 광전자반도체연구실 |
연구실 홈페이지 |
중요 키워드
대외활동
[기술 자문] - SKMS 자문 (2017) - 미래기술연구회 자문 (2016-2018) [학회/위원회 활동] - 2017 한중 저차원 광전자 소재 및 소자 심포지엄 참여 (2017-2018) - 2016 한중 저차원 광전자 소재 및 소자 심포지엄 참여 (2016-2017) - 2014 한중 저차원 광전자 소재 및 소자 심포지엄 참여 (2014-2015) - 2013 한중 저차원 광전자 소재 및 소자 심포지엄 참여 (2013-2014) - 2012 한중 저차원 광전자 소재 및 소자 심포지엄 참여 (2012-2013) - 박막특성 연구회 활동 (2005)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분야] 핵심 분야: 2차원 물질 및 나노 구조 물리, 박막 소자 및 응용 세부 분야: 저차원 양자물리현상, 나노 태양전지, 그래핀 및 2차원 물질 광학적 특성, 라만 분광 기술, 수소 센서, 플렉서블 전자소자. [대표 연구 내용] 문제 정의: 기존 반도체 소자의 한계를 뛰어넘고 차세대 전자기기 및 에너지 분야의 혁신을 위해 2차원 물질과 나노 구조의 활용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2차원 물질의 물성을 제어하고 이를 실제 소자에 응용하는 기술은 고성능·저비용 소자 개발에 필수적입니다. 기술 우위: 저는 2차원 물질의 층간 상호작용 및 저차원 양자물리현상 연구를 통해 새로운 나노박막 제조 및 특성 분석 기술을 개발해왔습니다. 특히, 롤투롤 화학기상 증착법을 이용한 유연 기재 상의 이황화 몰리브덴/텅스텐 나노박막 제조, 유연 기판 상으로 금속 칼코게나이드 박막을 전사하는 기술, 그리고 이차원 물질의 격자 방향 조절 및 도메인 구조 측정 시스템 개발에 대한 특허를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공초점 현미경 기반의 고감도 라만 분광 기술을 활용하여 나노 반도체의 미세 물성을 정밀하게 분석하는 독보적인 역량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고효율 태양전지, 수소 센서, 플렉서블 디바이스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합니다. 사업 가치: 본 연구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에너지 하베스팅, 고감도 센서 등 다양한 첨단 산업 분야에서 요구하는 핵심 소재 및 소자 기술을 제공합니다. 특히, 유연하고 투명한 전자소자 개발에 기여하며,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실용적인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관련 기업은 본 기술을 통해 고성능의 차세대 제품을 개발하고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학력
1993 Ph. D. Dept. of Physics, Harvard University Thesis: "Optical studies of semiconductor heterostructures under high pressure" 1988 A. M. Dept. of Physics, Harvard University 1986 B. S. Dept. of Phys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