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진욱

범진욱

재직중

AI 요약

서강대학교 전자공학전공 범진욱 교수는 차세대 반도체, 인공지능, 이미지 센서 분야의 혁신적인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고속 회로 설계, 전력 관리 IC, LiDAR 및 단광자 검출 기술, 그리고 신경망 프로세서 개발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연구 스펙트럼을 가지고 계십니다. 다수의 국가 및 기업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국내외 유수 저널에 많은 논문을 게재하고 다양한 핵심 기술 특허를 출원하여 전자공학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페이지에서 범진욱 교수의 상세 연구 성과와 최신 동향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범진욱 썸네일

범진욱

교수

서강대학교
전자공학과
소속서강대학교
부서 학과전자공학과
직책교수
사무실 번호027058909
이메일burm@sogang.ac.kr
연구자 홈페이지
연구실Microelectronics Lab.
연구실 홈페이지

연구분야

AI 반도체 및 신경망 프로세서

본 연구실은 엣지 컴퓨팅 환경에 최적화된 AI 반도체 및 신경망 프로세서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에너지 효율성과 연산 속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혼성신호 이진화 신경망(Binary Neural Network, BNN) 회로 장치 및 뉴럴 프로세싱 유닛(NPU) 설계에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제한된 자원에서도 고성능 AI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자율주행, 스마트 센서, 사물 인터넷(IoT) 기기 등 다양한 엣지 AI 애플리케이션의 발전에 기여합니다. 주요 연구 내용으로는 28-nm CMOS 공정 기반의 24.1 TOPS/W 혼성신호 BNN 프로세서 개발, Few-shot learning을 위한 연상형 메모리 증대 신경망 네트워크 설계, 그리고 인메모리 컴퓨팅 응용을 위한 비트와이즈 곱셈기 구현 등이 있습니다. 기존 범용 프로세서 대비 뛰어난 전력 효율과 소형화된 폼팩터로 현장에서의 AI 추론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차별성을 가집니다. 본 연구는 AI 기술의 광범위한 산업 적용을 가속화하고,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및 보안이 필수적인 미래 스마트 시스템의 핵심 기반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가치를 창출합니다. 기업 및 투자자들은 본 연구를 통해 고성능, 저전력 AI 솔루션 개발 및 관련 시장 선점을 위한 협력 기회를 모색할 수 있습니다.

LiDAR 및 고감도 이미지 센서 기술

본 연구실은 차세대 LiDAR 및 고감도 이미지 센서 기술 개발에 집중하며, 자율주행, 정밀 측정, 의료 영상 등 다양한 분야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단일 광자 검출기(Single-Photon Avalanche Diode, SPAD) 어레이를 활용한 dTOF(direct Time-of-Flight) 센서 설계 및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코히어런트 검출 기반의 고감도 LiDAR 시스템 구현에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극저조도 환경에서도 높은 정밀도와 해상도로 3D 공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하여, 기존 센서의 한계를 뛰어넘는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주요 성과로는 SPAD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퀀칭 바이어스 회로 디바이스 개발과, 이미지 센싱 디바이스 및 라이다 디바이스 특허 등록 등이 있습니다. 이 기술들은 미세한 빛 신호까지 효율적으로 감지하여 거리 측정 및 이미징의 정확도를 높이며, 주변 환경 변화에 강인한 작동을 보장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자율주행차의 안전성 향상, 산업용 로봇의 정밀 제어,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기기의 사용자 경험 개선, 그리고 바이오메디컬 분야에서의 초정밀 진단 장비 개발에 활용되어 미래 사회에 핵심적인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정밀 센서 기술 분야에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려는 파트너들에게 이상적인 협력 기회를 제공합니다.

고속 회로 설계 및 전력 관리 IC

본 연구실은 디지털 및 아날로그 혼성 신호를 아우르는 고속 회로 설계와 효율적인 전력 관리 집적회로(IC) 분야에서 첨단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Gb/s급 이상의 고속 데이터 전송이 요구되는 차세대 통신 시스템 및 컴퓨팅 환경을 위한 고속 직렬 링크 송수신기, 그리고 Clock and Data Recovery(CDR)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는 데이터 병목 현상을 해소하고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핵심 기술입니다. 더불어, 스마트 모바일 기기 및 엣지 디바이스의 배터리 수명 연장과 에너지 효율 극대화를 위한 전력 관리 IC 설계에 전문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고속 응답/고속 스위칭 DC-DC 컨버터 설계 기술을 통해 다양한 부하 조건에서도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합니다. Refereceless CDR 및 다기능 파워 매니지먼트 IC 개발 등 다수의 과제 수행 경험과 특허를 통해 기술력을 입증했습니다.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 데이터센터, 전기자동차 등 고성능 및 고효율이 필수적인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고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고속 신호 처리 및 전력 효율 솔루션을 필요로 하는 기업들에게 맞춤형 기술 협력 및 컨설팅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경력정보

27년 8개월
1998.03.01 ~ 재직중

서강대학교

조교수 1998년 3월 정교수 현재

-
-

벨연구소 (Bell Labs., Murray Hill, NJ)

연구원, 벨연구소 (Bell Labs., Murray Hill, NJ) 1996년 9월-1998년 2월

중요 키워드

기술이전SPADLiDAR집적회로반도체설계엣지AIAI반도체산학협력CMOS신경망센서회로전력관리고속회로이미지센서전자공학

대외활동

[학회/위원회 활동] - International SoC Design Conference (ISOCC) 조직위원 - IEEE CASS 운영위원 [국제 협력] - 독일 Fraunhofer Institute Dresden의 Andy Heinig 연구책임자와 협력 연구 수행 [기술이전/기술지도] - "Quenching bias circuit device and single photon detector comprising the same" (미국 US11480465, 2022.10.25.) 국제 특허 등록 (총 3건의 국제 특허 등록) - 총 2건의 기술이전을 통해 총 1억 4천만 원의 수입 기록 - 'Neural Network Synaptic Cell 특성 추출 기술' 특허 이전 (2,500만 원 수입) [대외 강연/세미나] - 삼성전자를 대상으로 "Referenceless Clock and Data Recovery 기술" 세미나 진행 - 반도체공학회 물성분석 기술워크샵에서 "설계분석의 기초 및 응용" 발표

학력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졸업 학사 1987년 2월 미시간 대학교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MI) 물리학과 석사 1988년 12월 코넬대학교 (Cornell University, Ithaca, NY) 응용물리학과 석사 1992년 8월 코넬대학교 (Cornell University, Ithaca, NY) 응용물리학과 박사 1995년 5월

서강대학교
문의처

서강대학교

담당자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이메일tlo@sogang.ac.kr
연락처02-3274-4863

보유 기술 로딩 중...